본문 바로가기
의학, 질병, 증상

골절 증상과 응급처치 방법

by 마르크즈 2022. 5. 13.

골절에 대한 이해

생활을 하다보면 다치는 경우가 생기고 기본적으로 응급처치방법을 알고 계셔야 좋습니다. 골절이 생긴적 있으시다면 골절 응급처치가 중요하다는걸 알고 계실텐데 골절은 두가지 종류로 있는데 폐쇄성 골절, 개발성 골절이 있습니다. 페쇄성 골절은 피부가 손상되지 않고 골절부위에 상처가 없는걸 말하며, 개방성 골절은 뼈가 피부 밖으로 나온 경우를 개방성 골절이라고 합니다.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은 여름이고 특히 바닷가 수영장에서 골절이 많이 생겨서 골절 응급처치방법을 알고 계시면 좋습니다. 또한 등산을 하는 경우에도 골절 부상을 자주 당하실 수 있습니다. 산에서 자주 당하는 골절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골절로 인한 2차적인 손상, 즉 2차감염이 문제며 잘못 처치하면 쇼크 등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또 골절환자를 잘못 다루게 되면 불완전골절이 완전골절이 되거나, 완전불구가 되기도 하므로 주의를 많이 기울여야 합니다.

골절 증상

단순골절인 경우의 증상은 부러진 곳은 저리고 아프고 붓습니다. 골절된 부분은 기형이 되고 골절부위 이하의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게 됩니다. 뼈가 완전히 부러지지 않았기 때문에 손상된 부분을 움직일수가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복합골절인 경우에는 단순골절 증상외에 부러진 뼈끝이 피부를 뚫고 창상이 겹치고 심한출혈이 동반되는 수가 있습니다. 골절부위에 창상이 있으면 복합골절로 판단하면 됩니다. 이와 달리 단순히 인대가 손상되었거나 늘어난 경우에는 붓기와 통증만 동반됩니다. 만약 인대 손상임에도 1주일 이상 붓기가 빠지지 않는다면 단순 인대 손상이 아닌 골절이 생겼을 확률이 높으므로 곧바로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골절 증상만 가지고는 확신할 수 없으므로 병원에 가면 보통 엑스레이를 찍어보고 의사가 골절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골절 응급 처치 방법

골절 환자가 있으면 즉시 119에 신고 하시고 환자를 편히 눕히고 다친 부위에 옷을 조심스럽게 벗겨야 합니다. 골절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손가락, 발가락을 만져 감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만약 감각이 없다면 신경계, 척추에 손상이 될 수 있어서 주의하셔야 합니다. 골절 응급처치방법에 가장 중요한게 환자의 안정을 취해주시고 좋고 골절 부위로 인해 신경계, 척추에 무리가 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골절 응급처치를 하셔야 됩니다. 골절 환자의 부러진 곳을 조심스럽게 부목으로고정을 시켜주고 환자를 완전하게 고정을 시켜주시면 골절 응급처치는 끝이 납니다. 골절로 인해 신경이나 척추손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여 골절 응급처치방법을 알고 계신다면 골절환자분에게 큰 도움이 되실겁니다. 정리하면 더 이상의 손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단순골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처치는 복합골절이 되지 않게 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전문응급의료요원을 현장에 요청하여 처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